헷갈리는 맞춤법 모음(되/돼, 왠/웬 등)
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📖✨
글을 쓰다 보면 헷갈리는 맞춤법이 참 많죠? 특히 비슷한 발음 때문에 혼동되는 단어들이 많은데요! 오늘은 한국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 😃✍️
✅ 1. 되 / 돼
✔ 되: '하다'로 바꿨을 때 말이 되면 '되'
✔ 돼: '되' + '어'의 줄임말
📌 예문
❌ 그렇게 하면 안되. (X)
⭕ 그렇게 하면 안 돼. (O)
➡ "안 하다"로 바꿨을 때 어색하므로 '돼'가 맞음
❌ 꿈은 반드시 이뤄져야 돼다. (X)
⭕ 꿈은 반드시 이뤄져야 된다. (O)
➡ '된다'는 '하다'로 바꿔도 자연스러우므로 '되'가 맞음
✅ 2. 왠지 / 웬지 / 웬
✔ 왠지: '왜인지'의 줄임말 (이유나 원인을 나타냄)
✔ 웬: '어찌 된'의 뜻을 가짐
📌 예문
❌ 웬지 오늘 기분이 좋다. (X)
⭕ 왠지 오늘 기분이 좋다. (O)
➡ '왜인지'로 바꿔도 자연스럽기 때문
❌ 왠 선물이에요? (X)
⭕ 웬 선물이에요? (O)
➡ '어찌 된 선물이에요?'라는 의미
✅ 3. 띄어쓰기 / 뛰어쓰기
✔ 띄어쓰기: 문장에서 단어를 띄우는 것
✔ 뛰어쓰기: 뛰면서 글을 쓰는 것(?!)
📌 예문
❌ 문장은 뛰어쓰기를 잘해야 한다. (X)
⭕ 문장은 띄어쓰기를 잘해야 한다. (O)
➡ '뛰어쓰기'는 이상한 말! 문장은 '띄어쓰기' 해야 해요.
✅ 4. 나누어 / 나눠
✔ 나누어: 동작의 원형을 유지해야 할 때
✔ 나눠: '나누어'가 줄어든 형태
📌 예문
❌ 돈을 똑같이 나누어 가져가자! (X)
⭕ 돈을 똑같이 나눠 가져가자! (O)
➡ 구어체에서는 '나눠'가 더 자연스러움
❌ 수학 문제를 나눠 풀어야 한다. (X)
⭕ 수학 문제를 나누어 풀어야 한다. (O)
➡ 문어체에서는 '나누어' 사용이 적절
✅ 5. 들리다 / 들르다
✔ 들리다: '소리가 들리다'처럼 '귀로 듣는' 의미
✔ 들르다: '어딘가 잠시 방문하다'는 의미
📌 예문
❌ 집 가는 길에 카페에 들릴게. (X)
⭕ 집 가는 길에 카페에 들를게. (O)
❌ 밖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 봤더니 강아지였다. (O)
⭕ 밖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 봤더니 강아지였다. (O)
➡ 소리가 귀에 들리는 것은 '들리다'가 맞음
✅ 6. 맞추다 / 맞히다
✔ 맞추다: 비교해서 일치하게 만들다 (퍼즐 맞추기, 크기 맞추기)
✔ 맞히다: 정답을 알아내다 (문제 맞히기)
📌 예문
❌ 시험 문제를 다 맞췄다! (X)
⭕ 시험 문제를 다 맞혔다! (O)
❌ 커플 신발을 맞혀 신었다. (X)
⭕ 커플 신발을 맞춰 신었다. (O)
➡ 정답을 찾는 것은 '맞히다', 일치시키는 것은 '맞추다'
✅ 7. 않다 / 안다
✔ 않다: 부정의 의미 (안 한다)
✔ 안다: 포옹하다 또는 알다의 의미
📌 예문
❌ 공부를 열심히 안 했다. (X)
⭕ 공부를 열심히 않았다. (O)
❌ 엄마를 않아 드렸다. (X)
⭕ 엄마를 안아 드렸다. (O)
➡ 부정할 때는 '않다', 포옹할 때는 '안다'
📌 마무리
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, 알고 나면 헷갈리지 않겠죠? 😊
글을 쓸 때 한 번씩 확인하면 더 깔끔하고 정확한 문장을 만들 수 있어요! ✍️
혹시 더 궁금한 맞춤법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! 📢
댓글
댓글 쓰기